|
||||||||||||||
|
[문화] WHO: 세계, 20년 만에 최대 콜레라 폭증 직면
![]() 시리아 북서부에서 콜레라 감염자 사례가 기록됐는데, 이곳에 이들립 지구 카프르 로신 마을로 쫓겨난 사람들의 천막 바로 앞에 오염된 물 웅덩이가 있음을 보여 준다. 2022.9.28. © Getty Images / Rami Alsayed/NurPhoto via Getty Images
RT 원문 2023.3.6. 수인성 감염은 치료받지 못한 감염자들 중 최대 50%에게까지 치명적일 수 있다 [시사뷰타임즈] 세계보건기구 (WHO) 는 경제 위기, 기후 변화, 코로나질병-19 대유행으로 인한 낙진 등의 요인으로 인해 고위험 국가 최소 30개국에서 콜레라가 번성할 수 있는 이상적인 환경이 조성됐다고 경고했다. WHO는 다양한 발병 규모가 수년간 감소 후, 2022년에 급격히 증가했다고 밝혔다. 작년 1월부터 10월 사이에, 29개국에서 질병 사례가 보고되었눈데, 전년도 23개국과 비교하여 2023년에는 이 수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WHO의 콜레라 비상 대응 부서 책임자인 필리페 바르보자는 ‘전보’ 지와의 취재대담서 "이러한 대규모 발병이 동시에 일어나는 국가의 수는 최소 20년 동안 본 적이 없다." 고 했다. 그는 "우리가 보고 있는 주요 발병 대부분은 모두 주요하고 특이한 기후 사건이 주도하고 있다" 고 덧붙였다. 그는 남부 아프리카 국가들이 라니나 기상현상으로 인한 폭우와 열대성 폭풍에 3년 연속 직면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위험에 처해 있다고 덧붙였다. WHO, Covid 기원에 대한 미국 주장 뒷받침할 증거 원해
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작년에 기후 변화의 현상이 콜레라 영향을 "과잉공급" 했다고 말했다. 시리아는 지난달 지진으로 상황이 악화되면서, 지난해 15년 만에 발병을 선언했다. 레바넌은 경제 붕괴 속에서 질병과 싸우기 위해 고군분투하면서 30년 만에 처음으로 비슷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전문가들은 콜레라 발생과 싸우기 위한 노력이 대유행 기간 동안 중단된 점을 감안할 때, 여러 국가의 의료 업무가 코로나질병-19 사례로 압도되어 문제가 악화되었다고 말한다. "콜레라는 통제할 수 있고 통제해야 한다."라고 바르보자는 풀어 말하면서 “의료 업무를 제공하는 데만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인권과 관련된 것이다.” 라고 했다. 콜레라는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걸리는 심각한 질병이다.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몇 시간 안에 사망할 수도 있다. WHO 수치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적으로 약 143,000명이 이 질병으로 사망한다고 한다.
Commen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