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기춘
![]() 1939년 11월 25일 경상남도 거제에서 태어났다. 외포초등학교, 마산중학교,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8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하여 1960년 사법고시에 합격했다. 광주, 부산, 서울지검에서 검사로 근무했다. 제15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17대까지 내리 3선을 기록하였다.
1991년 5월 8일 강기훈 유서대필 의혹 사건에 9명의 검사 중 한명이었다.[1]
1991년 5월 27일에서 1992년 10월 8일까지 법무부장관으로 재직하였다. 1992년 12월 11일 부산 지역 기관장들을 모아 지역감정을 조장해 여당 후보를 지원하는 내용을 의논했던 초원복집 사건으로 기소되었으나 무혐의로 풀려났다. 오히려 이 사건이후 김영삼 대통령의 총애를 받아 승승장구했다. 1993년 김기춘법률사무소를 개소하여 변호사로서 활동을 하였으며, 이런 전력으로 시민단체에 의해 낙선대상으로 지목되기도 했지만, 1996년 4월 11일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4월 13일 제16대 선거, 2004년 4월 15일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내리 3선을 하여 12년간 국회의원직을 수행하였다.
2004년 3월 12일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 당시 탄핵을 적극적으로 주도했으며, 법제사법위원장으로서 탄핵심판시 일종의 검사역할을 했다. 부인 박화자외 1남 2녀를 두고 있다.
현재는 새누리당 상임고문을 맡고 있다.
2009년 8월 17일 한국에너지재단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또한 2012년 8월 23일 제3대 이사장으로 재선임됐다.[2]
제14대 대통령선거를 일주일 앞둔 1992년 12월 11일 오전 7시 부산 초원복집. 김기춘 전 법무부장관, 김영환 당시 부산직할시장, 박일용 당시 부산지방경찰청장, 이규삼 당시 국가안전기획부(현 국가정보원) 부산지부장, 우명수 당시 부산직할시 교육감, 정경식 당시 부산지방검찰청 검사장, 박남수 당시 부산상공회의소장 등 내로라하는 부산지역 기관장들이 부산 초원복집 식당에 모여 김영삼(YS) 당시 민자당 후보에 대한 지지를 모의했다. 이들은 김대중 당시 민주당 후보, 정주영 당시 통일국민당 후보의 공세에 흔들리던 YS를 구하기 위한 결의를 하려고 이 자리에 나왔다.
이들은 이 자리에서 "다른 후보가 당선되면 부산ㆍ경남 사람들 모두 영도다리에 빠져 죽자" "민간에서 지역감정을 부추겨야 돼"와 같은 지역감정을 조장하는 원색적인 발언을 쏟아냈다. 통일국민당 측이 민자당의 치부를 폭로하기 위해 이들의 대화 내용을 도청해 폭로했다. 대선 정국이 발칵 뒤집혔다. 이른바 '초원복국집 사건'으로 불리는 전직 법무부장관(김기춘)의 대통령선거법 위반 사건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5일 '초원국집 사건'의 주역인 김 전 법무장관을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발탁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지역감정을 노골적으로 부추기려고 모의한 인물을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로 앉히는 게 적절하냐는 것이다. 김 비서실장은 초원복집 모임에서 참석한 인사들에게 "당신들이야 노골적으로 (선거운동을) 해도 괜찮지 뭐…. 우리 검찰에서도 양해할 것이고, 아마 경찰청장도 양해…"라고 말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초원복집 사건'이 '국정원 선거개입'의 원조라는 주장을 제기하며 박 대통령이 '국정원 선거개입' 사태를 너무 안일하게 보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일고 있다. 실제로 초원국집 모임에는 당시 국가안전기획부 부산지부장이 참석한 바 있다.
민주당도 김 비서실장 발탁을 비판하고 나섰다. 민주당은 5일 "(김 비서실장이) 과연 새로운 시대에 요구되는 경제민주화, 복지정책 등 수많은 국정과제에 제대로 대처해 나갈 수 있을지 우려스럽다"고 했다. 김관영 수석대변인은 현안브리핑에서 김 비서실장에게 유신헌법 초안 마련,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주도, '초원복집 사건' 주도 전력이 있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김 대변인은 또 김 비서실장이 박 대통령의 핵심 자문그룹인 '7인회' 멤버였다는 사실도 언급하며 "MB(이명박)정권 때 6인회 멤버들의 비극적 종말이 우려되는 것이 아닌지 우려된다"고 했다.
주석
Commen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