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인명사전에서 분류한 세계 독재자 73명 [출처] [핏발울 배너 출처] 자유민주주의, 자유경제체제는 인간의 본성과 맞는 것 독재는 이 모든 것을 부정하고 다양한 문화까지 부정하는 것 인간은 누구나 자유롭고, 평화로우며 안전한 곳에서 살기를 원합니다. 더불어, 농부가 뿌린만큼, 일한만큼 수확하는 것이 당연하듯, 그 누구라도 자신이 일한 만큼의 댓가가 주어지고, 노력한 만큼의 수직적 사회이동이 보장되어있어야 꿈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인간이 생겨난 이래로 여러 정치적 체제, 경제체제, 사회체제가 실험적이라 할 만큼 존재했습니다. 이 많은 여러 분야의 제도 중에서 인간의 본성과 체질에 어울리지 않는 체제나 제도는 자연스럽게 기피대상이 되며 도태될 수 밖에 없습니다. '민주주의'라는 말은 법학 …
프랑수아 뒤발리에(Dr. François Duvalier, 1907년 4월 14일 ~ 1971년 4월 21일)는 아이티(Haiti)의 대통령이자 정치가, 의사, 문화인류학자였다. 아이티의 수도인 포르토프랭스에서 출생했으며, 애칭으로 이른바 ‘파파독’(Papa Doc)이라 불렸다. 이는 뒤발리에가 의사였던 것에서 유래한다. 그가 아이티의 대통령으로 재임했던 1964년부터 1971년까지 현대에서도 보기 드문 최악의 독재정치를 한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그가 만든 비밀경찰인 ‘통통 마쿠트’(Tonton Macoute)는 국민을 공포에 빠뜨렸다. 생애 마르티니크 출신의 흑인계 하층민 출신으로서, 1934년에 하와이 대학교 의학부를 졸업한다. 그 후 농촌 의료 봉사에 종사한다. 1938년 경부터 부두교를 연구하면서 수많은 민족학적 논문 및 서적을 발표하면서 아프리카 흑인의 전…
후안 도밍고 페론 (스페인어: Juan Domingo Perón, 1895년 10월 8일 ~ 1974년 7월 1일) 은 알젠티나 (아르헨티나) 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1943년의 군사 쿠데타에 참여하여 군사정부의 내각에 입각, 노동부장관을 지냈다. 1944년 ~ 1946년 부통령, 1946년 ~ 1955년, 1973년 ~ 1974년 대통령을 지냈다. 그의 두 번째 부인은 에비타라는 별칭으로 유명한 에바 페론이다. 후안 페론은 정치적으로 페론주의 운동을 창시했으며, 아르헨티나 현대사에서 가장 큰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인물이다. 초기 생애 1895년 페론은 부에노스아이레스주 남부 로케 페레스의 오두막집에서 태어났다. 마리오 토마스 페론과 후아나 소사 톨레도의 삼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선조는 이틀리 (이탈리아) 계 이민자의 후손이었다. 아버지 마리오 토마스 페론은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난 …
풀헨시오 바티스타 이 살디바르(Fulgencio Batista y Zaldívar, 1901년 1월 16일 ~ 1973년 8월 6일)는 큐버 (쿠바) 의 군인으로, 바티스타 이 살디바르라고도 불린다.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여러 직업을 하다가 1921년 입대했으며, 중사로 진급하면서 많은 추종자들을 모았다. 1933년9월 이름하여 '중사들의 반란'을 일으켜 헤라르도 마차도 이 모랄레스의 독재 정권을 붕괴시켰다. 그리고 이후에 수립된 임시정부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르페데스의 임시 정부 역시 이 반란으로 무너졌다. 1940년 큐버 대통령에 당선되어 능률적으로 나라를 다스리고 교육 제도를 확대하고 여러 경제 개발 정책을 펴 경제 성장을 촉진시켰으나 반대세력들을 탄압했다. 그래서 임기말이었던 1944년에는 반독재 운동이 끊이지 않았고 결국 1944년 대선에서 패배해 큐버를 떠나…
입력 2017.11.2[시사뷰타임즈]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폴츄걸어: António de Oliveira Salazar, 1889년4월8일 ~ 1970년7월27일)는 폴츄걸(포르투갈)의 정치인이다. 1932년부터 1968년까지 36년간 총리로 재임하며 독재체제를 구축하였다.이하 위키피이아의 기술에 따르면, 그는 중부 산타콩바당의 평범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비제우의 신학대학에서 성직자 교육을 받았으나, 코임브라 대학교에서 법학과 정치학을 전공했다. 그 후 코임브라 대학교에서 정치경제학 교수로 재직했다. 1926년 쿠데타 이후 경제 전문가로 1928년 재무장관에 임명되어 대공황 속에 성공적인 경제정책을 수행했다. 1932년 오스카르 카르모나 대통령은 그를 총리로 임명하였다. 그 다음해 이스타두 노부(폴츄걸어: Estado Novo) 체제를 도입하고 국민동맹을 조직하여 1…
사진: Wikipedia폴 팟(Pol Pot, 크메르어: ប៉ុល ពត, 1925년 5월 19일 ~ 1998년 4월 15일)는 캠보디어(캠보디어)의 독립운동가, 노동운동가, 군인, 정치인이자 사회주의 혁명가이다. 본명은 살롯 사(Saloth Sar, 크메르어: សាឡុត ស)이다. 캠보디어의 공산주의 정당이었던 크메르 루주의 지도자이자 1976년에서 1979년까지 민주 캄푸치아 공화국의 총리였다. 흔히 폴 팟(폴 포트; Pol Pot)으로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이름이 아니라 영어의 펄리티컬 퍼텐셜(Political Potential)이나 프랑스어의 폴리티크 포탕티엘(Politique Potentielle)을 줄인 말로서 영어와 프랑스어로 "정치적 잠재성"을 뜻한다. 프랑스의 식민지 기간 중 독립운동가로서 민족해방운동에 동참하였고 호찌민이 지도하는 반프랑스 운동 단체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해방 후 공산당에 가담하였고 미국과 …
사진: Wikipedia라파엘 레오니다스 트루히요 몰리나(스페인어: Rafael Leónidas Trujillo Molina, 스페인어 발음: [rafaˈel leˈoniðas tɾuˈxiʎo]: 1891년 10월 24일 ~ 1961년 5월 30일)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1930년부터 1961년 암살당할 때까지 도미니카 공화국의 독재자로 군림하였다. 도미니카 공화국의 역사에서 트루히요 시대라고 알려진 그의 시대는 20세기 최악의 폭정 중 하나로 이름 나 있다. 생애와 경력[편집] 어린 시절[편집]도미니카 공화국 산크리스토발에서 작은 소매점을 운영하던 호세 발데스 트루히요와 아이티계 여인이자 줄리아란 애칭으로 알려진 알타그라시아 몰리나 샤빌리에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11명의 아이들 중 3번째였다. 어린 시절을 비교적 큰 사고 없이 보냈고 6살 때 후안 힐라리우 메리노의 학교에 입…
재위 1930년 11월 2일 ~ 1974년 9월 12일전임자 자우디투배우자 메넨 아스파우자녀 로마네워르크테나그네워르크암하 셀라시에제네베워르크체하이메콘닌사흘레 셀라시에왕가 솔로몬 왕조부친 라스 마코넨 월데미카엘 구데사모친 예시메베트 알리출생 1892년 7월 23일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에제르사고로사망 1975년 8월 28일 (83세)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종교 에티오피아 정교회 하일레 셀라시에 1세(암하라어: ኃይለ ሥላሴ 하일레 실라세→삼위일체의 힘, 1892년 7월 23일 ~ 1975년 8월 27일, 재위 1930년 ~ 1974년)는 에티오피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며, 아명은 테페리 메콘닌 월더 미카엘(암하라어: ተፈሪ መኰንን ወልደ ሚካኤል)이다. 1916년에 쿠데타를 일으켜서 이야수 5세를 폐위시키고, 자우디투를 황제로 즉위시켰다. 자…
[사진출처] 출생: 1912년 5월 26일, 크로에이셔(크로아티아 리예카 사망: 1989년 7월 6일, 항거리 부다페스트 수상: 소비DPT연방 영웅, 레닌 평화상 카다르 야노시은 항거리의 정치인이다. 1956년 ~ 1988년 항거리 사회주의 노동당 제1서기로 재직하며, 항거리 인민 공화국의 실질적인 국가 수반을 지냈다. 오스트리아 항거리 제국의 피우메에서 태어났으며, 당시 이름은 이탈리아어로 조반니였다. 항거리 출신의 슬로바키아인인 모친을 따라 부다페스트 부근에서 성장하였다. 가난한 기계 실습공이었으며, 1931년 불법이던 항거리 공산당에 입당했다가 공산주의 활동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었다. [위키백과] 스탈린 격하 연설의 국외적 파장 : 헝가리의 자유화운동 폴란드의 상황은 항가리(항거리)를 크게 고무시켰다. 10월 중…
[Image souce] [ Fidel Castro (Ruz) ] [더 읽을거리] 카스트로와 함께 혁명에 가담했던 체 게바라 보기 쿠바의 정치가·혁명가. 1959년 총리에 취임하고 1976년 국가평의회 의장직에 올랐다. 공산주의 이념 아래 49년간 쿠바를 통치하였다. 출생-사망 1926.8.13 ~ 쿠바 동쪽 끝 올긴(Holguin) 주의 한 소도시에서 출생. 1945년 말 아바나대학교(University of Havana) 법학과에 입학하였고, 졸업 후 변호사가 되었다. 대학 재학 때부터 정치활동을 하였으며, 1947년 도미니카공화국의 독재자 라파엘 트루히요(Rafael Trujillo) 정권을 타도하기 위한 침공에 합류하였다. 1948년에는 콜롬비아 보고타(Bogota)에서 발생한 도시폭동사건에 참여하였다. 1953년 당시 쿠바의 독재자 바티스타(Batista) 정권을 전복시키기 위해 동지 156명과 함께 쿠바…
[source: 사진출처 및 사진 더 보기] 마르코스 Ferdinand E(dralin) Marcos 출생일시1917. 9. 11, 필리핀 사라트 사망일시1989. 9. 28,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 국적필리핀 요약 마르코스는 1966~86년 필리핀을 통치했으나 부패와 민주정치에 대한 탄압으로 원성을 샀다. 1965년 대통령에 당선된 그는 1969년의 재선에도 성공하여 대통령직을 연임하는 최초의 필리핀 대통령이 되었다. 첫 임기 동안 농업·공업 부문에서는 발전을 이루었으나 행정부는 학생시위와 도시 게릴라들의 테러 행위로 시달려야 했다. 1972년 9월 계엄령을 선포하여 군부를 체제기반으로 이용하면서 야당 정치인들을 탄압했다. 1981년 1월 계엄을 해제하고 그 해 6월 신헌법에 따른 새로운 대통령이 되었지만, 부정부패, 경제침체, 빈부의 격차 심화, 공산 게릴라들의 …
엔베르 호자(알바니아어: Enver Hoxha, 1908년 10월 16일 ~ 1985년 4월 11일)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시스트 이탈리아와 나치 독일에 맞서 알바니아 민족해방전선을 이끌었으며, 종전 뒤 사망(1985년)때까지 공산주의 정당인 알바니아 노동당의 총서기로 알바니아를 다스렸다. 그는 엄격한 스탈린주의에 의거하여 공산주의 국가 가운데도 유례없는 폐쇄 정치를 실시하여, 서방은 물론 구 소련·유고슬라비아·중국 등 다른 공산주의 국가들과도 차례차례 관계가 끊겨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소련에 대해서는 체코슬로바키아 · 헝가리 등지에 군을 투입하는 것을 보면서 국토 곳곳과 해안가에 전투벙커와 방공호를 설치하고 전 국민에게 무기를 지급하는 등, 적대시하였다. 1967년에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무신론 국가를 …
니콜라에 차우세스쿠 [사진출처]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루마니아어: Nicolae Ceauşescu, 문화어: 니꼴라이 차우쉐스꾸[1], IPA: [nikoˈla.e t͡ʃa.uˈʃesku], 1918년 1월 26일 ~ 1989년 12월 25일)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1965년부터 1989년 총살되기 며칠 전까지 공산주의 국가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원수(1974년부터는 대통령)을 지냈으며 1989년 자신의 정권이 무너지자 도주를 시도하다가 총살되었다. 초기 활동[편집] 루마니아 왕국 남부 스코르니체슈티에서 부농의 아들(빈민농가 출신이라는 견해도 있음[2])로 태어난 차우셰스쿠는 11세에 부쿠레슈티로 이주하여 구두 수선공의 견습생이 되었다. 1932년 당시 불법 정당이었던 루마니아 공산당에 가입하여 지역 당서기를 역임하는 활약하였으며 위험한 공산주의 선동…
쿠데타 집권-장기독재자의 최후 무아마르 알 카다피 [ Muammar al- Qaddafi ] 리비아의 군인, 정치가. 1969년 쿠데타로 집권하였으며, 2011년까지 42년간 장기집권했다. ▶쿠데타후 장기집권 카다피 도주-죽음 동영상으로 보기 이슬람근본주의, 사회주의, 범아랍주의를 융합한 아랍공동체 건설을 주장하였으며 인민직접민주주의라는 명분을 앞세워 의회제와 헌법을 폐지하고 석유 등 국가기반시설을 국유화하여 독재권력을 강화했다. 2011년 장기집권과 철권통지에 반발해 일어난 반정부 시위로 권좌에서 물러나 은신 중 사살되었다. 저서로 《녹색서》가 있다. 출생-사망 1942 ~ 2011.10.20 국적 리비아 활동분야 군사, 정치 출생지 리비아 시르테주 수르트 주요저서 《녹색서 The Green Book》(1976,1980) 1942년 리비아 …
도조 히데끼 [사진:위키백과] 도조 히데키 (동조영기, 일본어: 東條英機 (とうじょうひでき), 문화어: 도죠 히데끼, 1884년 12월 30일 ~ 1948년 12월 23일)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다. 1941년 10월 18일부터 1944년 7월 18일까지 일본의 제40대 총리를 지냈으며 육군대신, 내무대신, 외무대신, 문부대신, 상공대신, 군수대신 등을 지냈다. 태평양 전쟁을 일으킨 A급 전범으로 손꼽힌다. 생애와 경력[편집] 청년기의 도조도조 히데키는 1884년 도쿄 부 고지마치에서 일본제국 육군 중장 도조 히데노리(東條英敎)[1] 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본적지는 이와테 현으로, 그의 두 형은 도조가 태어나기 전에 사망하였다. 그는 1909년에 이토 가쓰코와 결혼하여 세 아들과 네 딸의 아버지가 되었다. 1905년 일본 육군사관학교 17기를 졸업하고 …
아우구스토 호세 라몬 피노체트 우가르테 (스페인어: Augusto José Ramón Pinochet Ugarte, 1915년 11월 25일 - 2006년 12월 10일)[1] 1973년부터 1990년까지 칠리(칠레는 틀린 발음)의 대통령을 지낸 칠레의 정치인, 군인이다. 그의 정권 하에서 권위주의적, 강압적 신자유주의에 근거한 광범위한 경제 개혁이 시행되었다. 좌파 정당, 군사독재에 반대하는 민주화운동 인사 등을 약 3천명 정도 학살했고, 살바도르 아옌데 정권 당시 공직역임자 등에 대한 탄압 정책이 벌여져 독재자라는 비판을 받는다. 개요[편집]군부독재[편집] 피노체트는 세계역사 처음의 민주적 사회주의 정권인 살바도르 아옌데정권을 쿠데타로 붕괴시킨 1973년 9월 11일부터 1990년 3월 11일의 대통령 선거까지 칠리를 지배한 군부독재자이다. 실제 축구경기장은 양심…